연산자 오버로딩 오버로딩(Overloading) - 반환 값에 상관없이 함수명이 동일하지만 인자값이 다른 함수를 오버로딩 했다고 한다. - c++에서는 연산자도 오버로딩 된다. 오버라이딩(Overriding) - 상속 관계에 있어서 부모 함수를 자식이 재정의하고자 할 때, 함수프로토타입을 똑같이 선언한 함수를 오버라이딩 했다고 한다. matrix.h #pragma once class matrix { private: int arr[4][4]; public: matrix operator+ (const matrix &a); matrix operator- (const matrix &a); matrix operator* (const matrix &a); matrix operator= (const matrix &a); void i.. 더보기 데이터 아키텍처 - 데이터 표준화 #데이터 표준화의 일반적인 정의 - 데이터 표준요소에 대한 명칭, 정의, 형식 등을 수립하고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. #데이터 표준화 수립의 기대효과 1) 표준화된 명칭을 사용하여 다양한 계층 간의 명확한 의사소통이 가능해진다. 2) 각 업무 시스템 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에 데이터 변환 및 정제 비용이 감소한다. 3) 일관성 있는 명칭을 재사용하여 시스템 운용 시간 및 개발 생산성이 증가한다. 4) 데이터 사용자들이 필요한 데이터의 소재 파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이 감소한다. #데이터 관리자로써 데이터 명칭에 대한 표준화 원칙을 수립하고자 할 때 고려할 사항 1) 데이터 명칭은 해당 개념을 유일하게 구분 해주는 이름이어야 한다. 2) 데이터 명칭은 업무적 명칭과 기술적 명칭을 구별하지 말고 업무적 .. 더보기 I/O Mapped I/O vs Memory Mapped I/O I/O Mapped I/O 어떤 device(예를 들어 CPU)에 달려 있는 주변 장치와 통신을 할 때 control line을 memory access와 따로 분리되어 있는 방식 - memory control line과 I/O control line이 분리되어 있다. - memory와 I/O 주소 공간이 분리되어 있다. - input, output 명령이 분리되어 있다. - Memory Mapped I/O보다 많은 instruction이 필요 - H/W 복잡 Memory Mapped I/O 어떤 device(예를 들어 CPU)에 달려 있는 주변 장치와 통신을 할 때 control line을 memory access와 같이 공유하는 방식 - 하나의 control line을 memory와 I/O가 공유한다.. 더보기 이전 1 ··· 8 9 10 11 12 13 14 ··· 26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