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 아키텍처 - 데이터 모델링 [3] #‘고객’ 엔터티의 식별자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1) 각 인스턴스들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. 2) 나머지 속성들을 직접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. 3) 후보 식별자로 속성 집합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개념적으로 유일해야 한다. 4) 여러개의 속성들을 묶어서 식별자로 생성할 수 있다. #데이터 모델링에서 이력 관리의 대상 1) 부서와 사원의 관계 2) 상품 단가에 대한 관리 3) 금융 상품의 이자율 관리 #인조 식별자 지정에 대한 설명 1) 최대한 범용적인 값을 사용한다. 2) 유일한 값을 만들기 위해 인조 식별자를 사용한다. 3) 편의성:단순성 확보를 위해 인조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. #식별자 확정 시에 고려사항 1) 상위 엔터티로부터 하위 엔터티로 결정해가는 것이 좋다. 2) 메인 엔터티는 하.. 더보기 데이터 아키텍처 - 데이터 모델링 [2] #개념 데이터 모델링에서는 부서 엔터티 자체의 정의를 명확히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부서 엔터티와 연관된 하위 엔터티들을 정의하는 것은 수평적 사고를 방해할 위험요소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모델링의 방향이라 할 수 없다. #후보키에 대한 설명 1) 각 인스턴스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. 2) 후보키의 데이터들은 가능하면 자주 변경되지 않는 것이 좋다. 3) 가능하면 키길이가 작은 속성들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 #성격기준으로 데이터를 분류하는 방법의 장점 1) 엔터티 후보들간의 미묘한 차이를 분석하는데 유리하다. 2) 엔터티 통합여부 판단의 기초가 된다. 3) 엔터티의 정의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. #ERD의 직렬 관계의 특성 1) 새로운 테이블이 추가됨 2) 인덱스 수가 감소될 가능성이 높.. 더보기 데이터 아키텍처 - 데이터 모델링 [1] #모델링의 기본 원칙 1) 커뮤니케이션 원칙 3) 모델링의 상세화 원칙 3) 논리적 표현 원칙 # 참조 무결성 규칙 - 관계 실체의 모든 외부 식별자 값은 관련 있는 실체에 주식별자 값이 존재해야 한다는 규칙 #개체-관계 모델에 대한 설명 1) 모델의 단순성 때문에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. 2) 확장된 개체-관계 모델은 서브타입을 포함한다. 3) 개체-관계 모델은 관계 클래스와 관계 인스턴스를 모두 포함한다. #데이터의 특성 1) 데이터는 조직과 기술에 비해 독립적이다. 2) 데이터는 프로세스에 비해 안정적이다. 즉, 변화가 적다. 3) 데이터는 여러 프로세스 또는 기능에서 사용된다. #소프트웨어 생산성 향상을 위한 객체지향 모델링의 장점 1) 재사용 코드와 같은 개념이 실제로 가능한 환경을 제공.. 더보기 이전 1 ··· 7 8 9 10 11 12 13 ··· 26 다음